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자급제폰 vs 통신사폰: 단통법 폐지 반영한 3년 총비용 끝장비교 (알뜰폰 요금제 추천 포함)

by 천리치 2025. 8. 12.
반응형

 

 

 

2편|자급제폰 vs 통신사폰, 3년 총비용 제대로 비교하기

 

여러분! 이런 적 있으시죠?! 매장에 가면 지원금이니 약정이니 말이 너무 복잡하고, 온라인에선 자급제폰이 무조건 싸다 vs 통신사폰이 더 혜택 많다… 의견이 갈려서 더 헷갈리는 순간요. 이 글은 실사용 3년을 기준으로 총비용을 깔끔하게 비교할 수 있도록 설계했어요. 최신 제도 변화 이후 시장이 크게 달라지면서 요금할인과 보조금 구조, 중고가치까지 따져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졌거든요. 2편에서는 자급제폰 ↔ 통신사폰을 같은 조건으로 맞춰 비교하고, 실제로 어떤 요금제가 유리한지, 또 모델별 가격을 어떻게 보면 손해를 줄일 수 있는지까지 도와드릴게요.

본문은 요금·단말·부가비용을 모두 합산해 설명하고, 약정·해지·중고가치 등 현실 변수까지 반영할 예정입니다. 부담 없이 따라오세요!

 

1편 보러가기 

 

자급제폰이란? 뜻·장단점·무약정폰까지 완벽 가이드 (2025 최신)

시리즈 1편 자급제폰이란? 뜻·장단점·무약정폰까지 완벽 가이드 (2025 최신) 여러분! 이런 적 있으시죠?! 통신사 약정 없이 갤럭시나 아이폰을 사고 싶어서 검색을 시작했는데, 용어는 어렵고 혜

1000-rich.com

 

자급제vs통신사 요금제 비교

“같은 폰인데 누구는 싸게, 누구는 비싸게? — 3년 총비용으로 보면 답이 보입니다.”
“요금할인과 보조금, 동시에 챙기는 최신 흐름에서 자급제·통신사의 진짜 차이를 파헤칩니다.”
“모델값·약정·중고가치까지 합쳐보면, 의외의 승자가 나옵니다.”

1) 자급제폰 vs 통신사폰 3년 총비용 핵심 비교

자급제폰 vs 통신사폰 3년 총비용 비교 표자급제폰 요금제 추천 라이트·스탠다드·헤비 정리단통법 폐지 이후 유통점 추가지원 구조 설명 인포그래픽

여러분! 같은 스마트폰이라도 어디서, 어떤 요금제로 사느냐에 따라 3년 누적 지출은 크게 달라집니다.

2025년 7월 22일 단통법이 폐지되면서 핵심이 몇 가지 바뀌었어요.

첫째, 통신사의 지원금 공시 의무가 없어지고 자율 공개로 전환됐습니다(명칭은 ‘공통지원금’로 안내).

둘째, 유통점이 지급하는 추가지원금 15% 상한이 사라졌습니다(조건에 따라 금액 자율).

셋째, 요금 25% 선택약정 할인 제도는 유지됩니다. 중요 포인트는 선택 구조예요.

 

공통지원금과 25% 요금할인은 여전히 양자택일입니다(둘 다 동시에 X).

다만 25% 요금할인을 선택하더라도 유통점 추가지원금은 동시 수령이 가능해졌습니다.

즉, 소비자는

공통지원금 + (유통점 추가지원금) 또는

25% 요금할인 + (유통점 추가지원금)의 두 갈래 중 내게 유리한 쪽을 고르는 그림입니다.

 

총비용 산식은 다음처럼 단순화해 볼 수 있어요.

단말 실구매가(= 출고가 − 통신사/유통점 보조금) + 요금 납부액(월요금 × 36 − 약정할인) − 중고 매각가(또는 반납 보상) + 부대비용(유심/가입/해지 수수료, 위약금 등). 비교 시엔 같은 기간(36개월)로 맞추고, 할인·프로모션 종료 후 금액을 적용해 보세요.

 

예시(모델·보조금은 가정): 출고가 1,200,000원, 36개월 후 중고가 360,000원(30%) 가정.
· 자급제 + 알뜰폰: 100GB급 33,000원 가정 → 33,000×36=1,188,000원. 총 ≈ (1,200,000 − 0) + 1,188,000 − 360,000 = 2,028,000원. (알뜰폰 100GB/무제한 3만 원대 사례 존재)


· SKT·KT·LGU+(25% 요금할인 + 유통점 추가지원): 예) SKT 5GX 레귤러 69,000 → 51,730원/월(선택약정 적용) ×36=1,862,280원. 유통점 추가지원 200,000원 가정 → 총 ≈ (1,200,000 − 200,000) + 1,862,280 − 360,000 = 2,502,280원.


· SKT·KT·LGU+(공통지원금 + 유통점 추가지원): 공통+추가지원 합계 500,000원 가정, 요금은 25% 미적용이라 69,000×36=2,484,000원 → 총 ≈ (1,200,000 − 500,000) + 2,484,000 − 360,000 = 2,824,000원.

 

▶ 정리: 데이터 많이 쓰는 분도 알뜰폰 3만~3만 후반 옵션이 있어 장기 총비용이 낮아지는 경우가 흔합니다. 반면 특정 시점·지역 특가로 SKT·KT·LGU+ 보조금이 크게 붙는다면 SKT·KT·LGU+가 유리할 수도 있어요. 다만 고가 요금제 유지·부가서비스 의무 등 조건이 붙을 수 있으니 계약서 문구로 반드시 확인하세요.

항목 자급제 + 알뜰폰 SKT·KT·LGU+ (공통지원금+추가지원) SKT·KT·LGU+ (25%+추가지원)
월 요금(대표) 100GB급 3만~3.5만 원대 사례 존재(프로모션 변동) 예: 5G 110GB 69,000원(요금할인 미적용) 예: 69,000 → 51,730원(선택약정 25%)
25% 선택약정 보통 적용 불가(알뜰폰) 미적용 (공통지원금 선택 시) 적용 + 유통점 추가지원 동시 가능
보조금 구조 없음(자급제). 카드/포인트 제휴는 별도 공통지원금 + 유통점 추가지원(상한 폐지) 유통점 추가지원 + 25% 요금할인(공통지원금은 미수령)
3년 총비용 예시* ≈ 2,028,000원 ≈ 2,824,000원 ≈ 2,502,280원
* 동일 가정(출고가 1,200,000원, 36개월 후 중고가 360,000원, 유통점 추가지원 가정치)으로 단순 비교한 값입니다. 실제 조건·프로모션·결합·부가서비스에 따라 달라집니다.

2) 자급제폰 요금제 추천 (데이터/통화 패턴별)

SKT·KT·LGU+ 25% 선택약정 할인 적용 계산 예시알뜰폰 100GB 무제한 요금대 비교 그래프자급제폰 초기 단말가 최저가 비교 체크리스트

요금제는 사용 패턴을 먼저 정리하면 선택이 쉬워집니다. 라이트(≤7GB)는 월 1만~2만 원대, 스탠다드(30~60GB/일2GB+3Mbps 등)은 2만~3만 원대, 헤비(100GB+/무제한 3~5Mbps)는 3만 원대 프로모션이 자주 보입니다(상시가는 4~5만 원대로 회귀 가능).

 

특히 알뜰폰은 특가 기간카드/포인트 제휴에 따라 체감 가격이 크게 달라지므로, 할인 종료 후 월 청구액 기준으로 3년 누적을 계산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또한 테더링/쉐어링 한도, eSIM, 로밍, 속도제어(1/3/5Mbps) 등 부가 조건과 ‘약정/위약금’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참고로 25% 선택약정 할인은 이동통신 3사 SKT·KT·LGU+에서 제공되는 제도이며, 일반적으로 알뜰폰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 라이트: 통화 무제한 + 데이터 7~11GB/이후 1Mbps — 월 1.6만~2만 원대 사례.
  • 스탠다드: 30~60GB 또는 일2GB+3Mbps — 월 2만대 중후반~3만 원 초반 사례.
  • 헤비: 100GB+5Mbps/무제한 — 월 3만 원대 프로모션(상시 4~5만). 프로모션 종료 후 금액을 기준으로 계산!

비교 팁: ① 공식 비교 포털과 사업자 페이지에서 최신 가격 확인, ② 결합/카드 할인 조건, ③ 약정/의무사용/해지 위약금, ④ 유심·가입비, ⑤ 특가의 유지 조건(번호이동·신규·기변) 체크.

3) 스마트폰 가격비교 & 선택 팁

공통지원금과 25% 선택약정 차이 다이어그램3년 총비용 계산 산식(단말가+요금−중고가) 안내반납형 프로그램 이용 시 주의사항 요약

 

자급제는 판매처 경쟁으로 초기 단말가가 빠르게 변하고, 통신사 구매는 보조금 조합에 따라 체감가가 요동칩니다.

단통법 폐지 이후엔 공통지원금 정보는 자율 공개되며, 유통점 추가지원금 상한이 폐지되어 시세 변동 폭이 커졌습니다.

이때 반드시 기억할 점: 공통지원금과 25% 요금할인은 택일이며, 25% 요금할인을 고르면 유통점 추가지원과 동시 조합이 가능합니다. 반대로 공통지원금을 받는다면 25%는 적용되지 않아요.

조건이 복잡할수록 계약서에 지원금 지급 주체·방식, 고가 요금제/부가서비스 의무, 결합 조건이 명시돼 있는지 꼭 확인하세요.

 

체크리스트:

① 단말가(카드/포인트/번들 조건 포함)

② 월 요금(할인·프로모션 종료 후)

③ 결합할인(인터넷/가족)

④ 유통점 추가지원 조건(유지기간·부가서비스)

⑤ 반납/중고가치(36개월 후 예상)

⑥ 유심·개통 비용

⑦ 보험/AS.

 

예시로 S** 5GX 레귤러 69,000원(110GB) 요금제는 선택약정 적용 시 월 51,730원으로 내려갑니다. 이처럼 월요금이 확 줄어드는 구간이 있는지 확인해, 3년 누적 총비용으로 환산해 보세요.

 

 

4) 경고 · 주의사항 (단통법 폐지 이후 체크리스트)

36개월 후 중고가치 30% 가정 그래프테더링·eSIM·속도제어 옵션 비교 표고가 요금제 의무 및 부가서비스 조건 경고

공통지원금 vs 25% 요금할인양자택일입니다. 두 제도를 동시에 적용할 수 없습니다. 다만 25% 요금할인 + 유통점 추가지원 조합은 가능하니, 선택지를 혼동하지 마세요.

유통점 추가지원 상한 폐지로 금액이 커질 수 있지만, 대신 고가 요금제 유지·부가서비스 의무·유지기간 조건이 붙기 쉽습니다. 계약서에 지급 주체·방법·의무기간이 명확히 기재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25% 선택약정 할인은 MNO(SKT·KT·LGU+)전용입니다. 일반적으로 MVNO(알뜰폰)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단, MVNO는 자체 프로모션으로 저렴한 요금이 자주 등장)

참고: 정부·통신사 안내에서 단통법 폐지(2025-07-22) 이후 지원금 공시 의무 폐지, 유통점 추가지원 상한 폐지, 공통지원금 자율 공개 등이 확인됩니다. 

추가로, 약정 중 해지/변경 위약을 꼭 확인하세요. 선택약정은 할인액 누적을 기준으로 위약이 산정됩니다. 또 카드결제 조건형 할인은 월 실적 미달 시 청구액이 급증할 수 있어요. 프로모션 종료 시점결합할인 유지 조건(가족/인터넷/OTT)을 달력에 체크해 두면 예고 없이 요금이 오르는 일을 막을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반납 보상형 프로그램을 이용할 땐 파손·변심 규정초과 사용료를 세부까지 확인해야 합니다.

5)자주 묻는 질문(FAQ)

자급제폰 + 알뜰폰 조합 비용 절감 사례SKT 5GX 레귤러 51,730원 적용 화면 예시알뜰폰 프로모션 종료 후 요금 변동 주의 안내

Q1. 자급제폰과 SKT·KT·LGU+ 구매, 총비용은 어떻게 비교하나요?

A. 기본 공식은 단말 실구매가(출고가−보조금) + 요금 납부액(월요금×36−할인) − 중고가치/반납 보상 + 부대비용(유심·가입·위약). 자급제는 단말가를 최저로 맞추고 알뜰폰의 낮은 월요금으로 누적을 낮추는 전략이 유리한 편입니다. 반대로 SKT·KT·LGU+는 시점에 따라 공통지원금 또는 25% 선택약정유통점 추가지원 조합으로 체감가가 내려갈 수 있어요. 같은 36개월 기준으로, 프로모션 종료 후 금액으로 계산하면 현실에 가까워집니다.

Q2. 공통지원금 vs 25% 선택약정, 동시에 받을 수 있나요?

A. 동시에 적용 불가합니다. 택일 구조예요. 다만 최근 제도에서는 25% 선택약정을 선택한 경우에도 유통점 추가지원동시에 받을 수 있게 되어 조합의 폭이 넓어졌습니다. 반대로 공통지원금을 선택하면 25% 할인은 적용되지 않죠. 계약 시 지원금 지급 주체·방식, 고가 요금제 의무, 유지기간을 문서로 확인해 불리한 조건을 피하세요.

Q3. 알뜰폰 요금이 싼데, 숨은 조건은 없나요?

A. 프로모션 기간카드/포인트 조건을 꼭 보세요. 첫 3~6개월 할인 후 정상가로 오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테더링/쉐어링 한도, 속도제어(1/3/5Mbps), eSIM 지원, 부가서비스 의무 여부에 따라 체감이 달라져요. 25% 선택약정 할인은 보통 SKT·KT·LGU+ 전용이므로, 알뜰폰은 그 대신 월 기본료 자체가 낮은 것이 장점입니다. 항상 할인 종료 후 금액으로 3년 누적을 계산하세요.

Q4. 유통점 추가지원이 커 보일 때 주의할 점은?

A. 상한 폐지로 금액이 커질 수 있지만, 그만큼 고가 요금제 유지, 부가서비스 의무, 유지기간 같은 조건이 붙기 쉽습니다. 지원금 환수위약 조항이 어떻게 계산되는지 계약서 문구로 확인하세요. 공통지원금을 선택하면 25% 선택약정은 적용되지 않는다는 점도 함께 기억해야 합니다. 표면가만 보지 말고 36개월 총비용으로 환산해 판단하세요.

Q5. 중고가치/반납을 3년 총비용에 어떻게 반영하나요?

A. 중고가치는 모델·용량·상태에 따라 차이가 큽니다. 보수적으로 출고가의 25~35%를 가정해 빼주되, 파손/배터리 성능 저하·구형화로 더 낮아질 수 있어요. 반납형 프로그램은 월 납부가 낮아 보이지만, 파손 기준, 초과 감가, 반납 시점추가 수수료를 꼼꼼히 보지 않으면 예상보다 비용이 늘 수 있습니다. 중고 매각/반납 중 내 사용 패턴에 맞는 방식을 택하세요.

Q6. 내게 맞는 요금제(라이트/스탠다드/헤비) 고르는 법?

A. 주 사용량을 3개월 평균으로 보고 고르세요. 라이트(≤7GB)는 1만~2만 원대, 스탠다드(30~60GB)는 2만~3만 원대, 헤비(100GB+/무제한)는 3만 원대 프로모션이 잦습니다. 알뜰폰은 선택약정 25% 대신 기본료 자체가 낮음이 장점, SKT·KT·LGU+25% 선택약정 또는 공통지원금 조합이 장점입니다. 테더링 한도·속도제어·eSIM·로밍 등 부가조건도 체감에 큰 영향을 줍니다.

6)결론 — 3년 총비용으로 보면 보이는 것들

데이터 사용량별 추천 요금제 차트3년 총비용 시나리오 A·B·C 결과 비교 표스마트폰 모델별 자급제 가격비교 가이드

자급제 + 알뜰폰: 월요금이 낮아 장기 총비용에서 유리한 경우가 많습니다. 프로모션 종료 후 금액 기준으로 계산하세요.

SKT·KT·LGU+: 공통지원금 또는 25% 선택약정 택일. 25%를 고르면 유통점 추가지원과 동시 조합 가능해 특가 구간에서 경쟁력이 생깁니다.

✅ 판단법: (단말 실구매가) + (월요금×36 − 할인) − (중고/반납가) + (부대비용)을 동일 조건으로 비교. 고가 요금제 의무, 부가서비스, 유지기간/위약은 계약서로 확인하세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여러분의 실사용 패턴에 딱 맞는 선택을 하실 수 있도록 핵심만 정리해 드렸어요. 

다음 포스팅은 자급제폰 + 알뜰폰 요금제 절약법에 대해 소개해드릴게요:)

 

반응형